제가 영구랜딩을 하고 현재의 직장을 잡기까지 딱 11개월이 걸렸습니다. 6월 2일에 영구랜딩을 하고 5월 4일에 일을 시작했으니까요.

그 11개월이라는 기간이 저에게는 아주 많은 것을 느끼게 해주었습니다. 인생, 관계, 가족 등등... 지금은 어느정도 자신감이 붙었습니다만, 그래도 아직 모르는게 많습니다. 이렇게 얘기하니 좀 거창하게 보일 수도 있겠으나, 길지도 짧지도 않은 11개월간 돈은 안벌고 집구석에 쳐박혀 온종일 일자리만 찾아보고 이력서만 수정해서 제출하고 있으니 집에 눈치도 보이고 생활비 걱정도 되지요. (사실 중간에 생활비가 바닥나서 취업 직전까지 식당에서 아르바이트도 3개월 했었습니다.) 특히나 주변분들이 종종 "한국 이민자들은 캐네디언 회사에 취업 못해. 그러다가 거지되서 한국 돌아가는 사람 많이 봤어. 화이트 컬러만 고집하지 말고 전기나 배관 기술을 배워 보든가 해.." 와 같은 말은 저에게 정말 큰 낙담을 주었지요. 이런말을 들어가며 생활비 걱정도 하며 정말 여러번 좌절 했었습니다. 정말로 돈은 떨어져가고 얘들도 먹여 살려야 하니까요.


이 11개월간 오로지 캐나다에 취업을 해야겠다는 일념 하나로 조사하고 사람을 만나고 정보를 구하고 찾아보고 ... 정말 많은 것들을 한 것 같습니다.


참고로 말씀 드리면, 저는 취업전에 영어권 국가에서 정식으로 대학을 다녔다거나 영어를 잘한다는 소리를 들어본적이 없습니다. 그냥 저도 평범한 한국 중년 기술 이민자입니다. 아직도 우리 회사에서 저는 영어를 제일 못하는 사람입니다. 영어 못한다고 꿈을 아예 포기하지는 마세요.

암튼 이 포스트의 제목처럼 밴쿠버에서 직장을 잡으려면 일단 면접을 봐야하는데 그 면접 기회를 잡으려면 꼭 해야 하는 것들이 있습니다.


1. Connection (인간 관계)

무조건 사람을 많이 만나야 합니다. 한국보다 더 인맥이나 혈연을 중요시 하는 곳이 캐나다인 것 같습니다. 이유는 잘 모르겠으나, 회사 사장 입장에서는 아무래도 아는 사람을 통해 일할 사람을 소개 받으면 그만큼 인간적으로 믿을 수 있다는 점에서가 아닐까 생각됩니다. 캐나다엔 워낙 다양한 인종도 모여 있고 특이한 사람이 많거든요.


처음에 이민오면 당연히 아는 사람이 없을테니 사람 만나기도 힘듭니다. 이럴때 필요한게 이민 봉사 기관 입니다. Success, ISS of BC, MOSAIC, Options 등등. 이민오셔서 무조건 한번 찾아가서 상담을 받아보시길 권해드립니다. 정착뿐 아니라 취업에 관련해서도 많은 도움을 받을 수 있고, 사람을 만날 수 있는 좋은 기회이니깐요. 또한 이러한 기관들을 통해 Volunteer나 무료 영어 수업 등을 신청해서 자꾸 사람을 만나야 합니다. 그리고 내가 어떤 일을 잘하고 어떤류의 직업을 찾고 있다는 것을 널리널리 알려야 합니다.

캐나다에선 내가 먼저 필요한 것을 요구하지 않으면 아무도 도와주지 않습니다.

2. Set a goal (목표 설정)

내가 캐나다에서 어떤 직장을 잡을 것인지 목표를 잘 설정하고 그에 대한 전략을 잘 세워서 계획대로 나아가는 것이 아주 중요합니다.

한국에서 했던 일과는 다른 것을 캐나다에서 시도해보는 것도 좋은 생각일 수 있으나 시간과 돈이 아주 많이 들고 성공할 확률이 훨씬 더 낮다는 것을 명심할 필요가 있습니다.

캐나다 회사에서 이민자들을 뽑을때 그 이민자들의 기술과 경험을 우선적으로 보고 뽑습니다. 그 이민자들이 영어를 잘해서도 아니고 캐나다의 문화를 잘 알아서 뽑는 것도 아닙니다. 그러므로, 내가 한국에서 어떤 일을 했었고, 어떤 일을 가장 잘하는지를 다시 한번 정리한 후 캐나다에서는 이와 관련된 일이 어떤 일이 있는지를 찾아서 그 직종에 대한 직업을 구하는 것이 가장 확실하고 빠른 방법입니다.

예를 들면,

저는 한국에서 오랫동안 DBA를 했었습니다. 그런데 DBA라는 직종이 캐나다에서 구하기도 힘들고 일자리도 별로 없기때문에 다른 직종(식당, 청소, 정원사 등등)을 시도해본다고 생각해보죠. 아마도 그런 일자리를 구하기도 힘들뿐더러 적성에 맞지도 않고 급여도 낮아서 적응하기 힘들게 됩니다. 또한 DBA를 했었다고 IT분야 전부를 잘 아는 것은 아닐 것입니다. 저도 Database는 아주 잘 알지만 Network 분야나 System Admin 분야는 초급 수준이거든요. 그런데 비슷한 IT 분야라고 해서 온갖 직종에 이력서를 물 뿌리듯 뿌리는 것은 시간만 낭비하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저도 처음엔 그렇게 했었다가 나중에 깨닫게 되었죠.


3. 괜찮은 이력서와 커버레터 만들기

저는 주로 구직정보를 찾을 때 Indeed.caeluta.ca , T-Net 사이트를 이용했습니다. 이 세가지 사이트가 가장 효율이 좋았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그리고 내게 맞는 Job posting을 볼때마다 기존에 만들어 놓은 표준 이력서와 커버레터를 수정해서 그 Job posting에 맞추어 내가 그 Job position에 가장 적합한 인물인 것처럼 꾸며서 제출을 합니다. 물론 거짓말을 하면 안되고, 내가 가진 경험과 기술 중에서 그 Job position에 필요한 기술들을 중심으로 서술해서 이력서와 커버레터에 잘 표현을 해야하는 거죠.

그러기때문에 하나의 Job posting에 apply하기 위해 이력서와 커버레터를 수정하는 시간이 아주 오래걸립니다. 전 영어 Native가 아니거든요. 그러므로 이력서를 모든 비슷한 Posting에 물뿌리듯 뿌린다는 것은 완성도가 높지 않은 이력서를 제출할수 밖에 없을 것입니다.


사실 처음엔 이력서와 커버레터를 인터넷에서 찾아보고 그 샘플을 이용해서 제것을 만들었지만 나중에 알고 보니 형편 없더군요.

이력서와 커버레터 작성에 큰 도움을 받게 된 계기는 제가 두명의 멘토를 만났을때입니다. 2014년 9월경에 Success에서 Accenture와 함께하는 취업 멘토링 프로그램에 참가를 했었는데(4주 프로그램이고 1주일에 1번 참가자들이 멘토들과 만나서 많은 정보를 교환하는 프로그램) 그곳에서 아주 중요한 멘토를 2명 만났습니다.


1명은 Accenture 소속이지만 Best Buy에서 IT 매니저로 일하는 중국계 이민자였고, 다른 한명은 Accenture에서 Oracle DBA로서 오래 일하다가 최근 BC Hydro로 옮겨서 일하는 중국계 이민자였습니다. 이 두명은 이민 온지 모두 10년이 넘었고, 저와 동일한 경험을 했던 사람들이었습니다. 게다가 1명은 정확히 같은 직종에 일하는 사람이고, 다른 한명은 IT 매니저(캐나다에서는 Manager가 자기 밑에서 일할사람을 직접 면접도 보고 뽑기도 합니다. HR 부서에는 보통 보고만 하거나 면접볼때 같이 참석시키는 방식이지요)였기때문에 제가 만들어간 이력서와 커버레터를 아주 세심하고 깔끔하게 고쳐주었습니다. 캐나다의 IT 회사에서 일하는 매니저들이 맘에 들어하는 용어 선택 및 스토리 선택 등이 아주 큰 부분이었지요.


특히 용어 선택과 스토리 선택은 아주 중요합니다. 한국말도 50년대에 유행했던 말과 현재 유행하는 말이 다르고 어감이 다르듯이 영어도 마찬가지로 시간이 가면서 천천히 변합니다. 한국에서 우리가 어렸을때 배운 영어는 현재 캐네디언들에겐 별로 와닿지 않은 말이 될 수도 있습니다. 별로 와닿지 않은 말로 이력서와 커버레터를 작성하면 아마도 HR 담당자는 처음 한줄만 보고 바로 다음 이력서로 Pass할지도 모릅니다. 인기가 좋은 회사의 HR 담당자의 경우 워낙 많은 이력서를 검토해야하기때문에 한 이력서당 검토하는 시간이 평균 2분 이내라고 합니다.


암튼 이렇게 만들어진 이력서와 커버레터를 가지고 정말 많은 곳에 면접을 봤었고, 지금 회사에 취업도 하게 되었습니다.

혹시 내 직종과 정확히 맞는 회사 10군데에 지원을 했는데 한군데도 연락이 오지 않는다면 내 이력서나 커버레터가 잘못된 것이 아닌지를 다시 한번 검토할 필요가 있을 것 같습니다.


다음 글에 계속 이어서....


반응형
Posted by Steve Lim
,

저는 2014년 6월초에 가족과 함께 영구랜딩을 했습니다. 사실 랜딩 전에 몇년정도 밴쿠버에서 학생비자로 생활했던 경험이 있어서 영구랜딩하면서 정착하는 과정은 아주 어렵진 않았지요. (영구랜딩 후기는 아래 포스팅 참조)

사실 돈이 무척 많은 분들 아니면 밴쿠버에서 살려면 뭔가 일정한 수입이 있어야 하는데,  자영업을 하거나 직장을 다니거나 둘중에 하나로 돈을 벌게 되지요.

근데 자영업도 투자금이 필요하고 사업을 하는 기술도 필요하고 사업에 대한 아이디어도 필요하겠지요. 전 이 세가지 중 아무것도 없었습니다. 오로지 직장에 다니기에 필요한 기술만 있었지요. 한국에서 IT 경력이 약 7년 이상정도 있었거든요.

랜딩을 하자마자 핸드폰과 차를 구하고 집을 구하면서도 그 와중에 어떻게 직장을 잡을 것인지 고민하면서 관련 분야에서 일하시는 분들을 만나러 다녔습니다. 처음 만났던 분이 석세스의 Job market 담당 선생님(지금은 다른곳에서 근무하십니다.)을 만나뵙고 밴쿠버에서 어떤식으로 직장을 잡을 것인지에 대한 큰 그림을 그릴수 있었습니다.

 

 

1. 캐나다에서의 경험이 중요하다

캐나다에 있는 회사에서는 직원을 뽑을때 캐나다에서의 직장 경력이나 일한 경험을 많이 참고합니다. 경험이나 경력이 없는 사람은? 영어라도 잘해야겠지요. 근데 캐나다에서 태어나고 자란 사람들도 막 대학 졸업한 무경력자들은 취업이 엄청 힘듭니다.

그래서 모두들 Volunteer 라는 것을 합니다. 각종 이민 봉사 기관(SUCCESS, ISSofBC, MOSAIC 등)을 방문하시면 여러가지 Volunteer 기회를 얻을 수 있습니다.

Volunteer도 하고 영어도 연습하고... 1석2조 네요.

이 경험은 나중에 이력서에 넣으면 취업에 유리합니다.

 

 

2. 영어보다는 커뮤니케이션

 

한국분들 대부분은 한국에서 영어를 10년 넘게 배워오셨을 것입니다. 다들 아시지만 그러면서도 변변치 않은 영어회화 한문장 하기 어렵지요. 게다가 잘못 알고 있는 것도 있습니다. 영어는 화려한 문장과 어휘, 발음이 아닌 어떻게 상대방과 커뮤니케이션을 하느냐가 더 중요하다는 내용을 잘 모르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저도 영어권에서 오래살아보진 않았습니다만 특히 밴쿠버에는 이민자가 현지인보다 많고 그 영어 발음또한  천차만별에 알아 듣기 힘든 발음이 엄청 많습니다. 대개 인도, 중국, 이란 계통에서 오신 분들이 그러하지요. 하지만 그분들은 현지인들과 아주 대화를 잘 해 나갑니다. 자세히 들어보면 영어 문법도 엉터리이고 발음도 정말 꽝이지만 커뮤니케이션을 아주 잘 하는 것이지요.

많은 이민자 봉사기관에서 이러한 주제를 가지고 자주 세미나를 하기도 하니, 이런 기회가 생기면 꼭 참석해서 배워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영어공부는 문법 공부나 어휘공부(알츠나 토플)가 중요한게 아니라 어떻게 현지인과 대화를 잘 해나가느냐를 배우는것이 중요합니다.

 

3. 이민자들의 취업을 위한 정부기관 및 프로그램

 

영주권을 받고 이민한지 5년이 넘지 않은 기술 이민자에 대해 취업을 지원해주는 다양하고 좋은 정부기관 프로그램이 많이 있습니다.저는 크게 다음 2가지 프로그램의 도움을 많이 받았습니다.

a. skills connect

b. mentoring program

Skills connect를 제공하는 기관은 위 링크를 따라가보시면 자세히 나오는데요, Back in motion, Douglas college, Training innovations, ISSofBC 등의 기관이 있습니다.(기관은 정부 정책에 따라 바뀌기도 합니다) 저는 IT 분야라서 Training innovations에 등록을 했구요, 각 기관마다 약간의 특색이 있습니다. 모두 들러보신 후에 충분히 정보를 얻으시고 가장 맘에 드는 곳에 등록을 하시면 됩니다. 이민자로서 단 1번의 등록 기회가 있으며 등록한 날로부터 1년간만 서비스를 받을수 있습니다. 약 2000불정도의 금액 상당으로 취업 지원을 받을 수 있고, 각종 취업과 관련된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이력서와 커버레터 작성, 직업 찾는 방법 및 리소스, 취업 세미나 및 취업 박람회 등등.Mentoring program에 등록하시면 나에게 가장 적합한 Mentor와 3개월간 만나면서 이것저것 정보를 얻을 기회를 잡을 수 있습니다. Mentor는 캐나다 현지에서 내가 일하는 직종에 종사하는 경력자로 보통 선정이 되는데요, 해당 Mentor와 프로그램을 진행할지 안할지는 본인이 판단하시면 됩니다. MOSAIC이 가장 많고 다양한 Mentor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요, 모든 이민자 봉사기관에 각각 프로그램을 신청하고 Mentor를 소개받아도 됩니다.

휴... 글 정리해서 쓰기가 어렵군요.. 말재주가 없어서...

다음 포스트에 계속 해서 올릴께요...

감사합니다.

 

다음글 보기 : 밴쿠버에서 IT직장 잡기(2) - 면접기회 잡기

반응형
Posted by Steve Lim
,

오늘은 캐나다 밴쿠버지역에서 살만한 집 구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우선 어느 지역에서 거주할지 결정이 되었으면 살 집을 정해야 하겠지요? 한달살기처럼 잠깐 지낼곳이 아니라면 살 집은 신중하게 골라야 합니다. 밴쿠버가 있는 BC주는 다른 곳과 달리 부동산중개인(Realter, 리얼터)이 집 렌트를 중개해주지 않습니다. 간혹 해당 집 주인의 부탁으로 리얼터가 렌트를 중개하는 곳도 있긴 하지만 흔하진 않습니다.

살 집은 크게 렌트를 하느냐 구매를 하느냐로 구할 수 있겠습니다.

 

렌트와 구매의 장단점

  렌트 구매
장점 초기 비용이 발생하지 않음
금전적 부담이 없음
집 값이 상승할 경우 본인의 자본 상승으로 이익이 발생
Monthly mortgage payment 는 상당 부분이 이자로 나가지만 일부는 본인의 모기지 원금을 갚아 나가는 개념이므로 일종의 자산 증가라고 볼수 있음
살고 싶은 만큼 한 집에서 영원히 살 수 있음
단점 렌트비는 순수한 비용으로 없어지는 돈임
세입자 보호법으로 보호는 받고 있으나 몇가지 특정 사유가 발생할 경우 본인의 의지와 상관 없이 다른 곳으로 이사를 가야할 경우가 있음
초기 비용이 필요함 (Down payment로 보통 집값의 20%정도는 현금으로 필요함 - 개인 신용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이제 막 캐나다로 이주한 사람의 경우 신용이 없으므로 많은 Down payment 금액이 필요함 : 모기지 브로커와 상담 필요)
집을 소유함에 따른 여러가지 부가 비용이 발생함(재산세, 물값, 관리비 등)

 

 

집 구하는 사이트

위에서 설명했듯이 렌트의 경우 공식적으로 도와주는 업체나 사람이 없기때문에 본인이 직접 웹사이트를 통해 집을 알아봐야 합니다.

일부 한국인이 운영하는 정착 서비스의 경우 렌트를 구해주는 것을 도와주는 경우가 있으나 별로 추천하지 않습니다.

밴쿠버에서는 다음 웹사이트가 렌트를 구하는 용도로 가장 많이 사용됩니다.

 

Craigslist

https://vancouver.craigslist.org/d/housing/search/hhh

한국의 벼룩시장과 같은 사이트로서 캐나다에 사는 거의 모든 사람들이 사용하는 사이트로서 가장 많은 매물을 볼 수 있으나 한글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밴조선(Vanchosun)

https://www.vanchosun.com/realestate/view/list2.php?cate=rent

한글이 지원되지만, 한국인만 사용하는 웹사이트이므로 매물이 제한적입니다.

 

키지지(kijiji)

https://www.kijiji.ca/b-for-rent/vancouver/c30349001l1700287

Craigslist와 비슷하며 Craigslist 다음으로 많이 사용되는 사이트이며 역시 한글은 지원하지 않습니다.

 

집 구하는 방법

위 웹사이트들에서 원하는 지역을 위주로 쭉 둘러본 후 맘에 드는 집이 있으면 해당 연락처로 연락하여 집 주인과 시간약속을 잡고 찾아가 직접 집을 둘러본 후 맘에 들면 집주인과 계약을 하면 됩니다.

보통 집이 맘에 들면 그자리에서 집주인과 이사 날짜등을 협의 하며 아래 표준 계약서를 가지고 계약을 하기도 합니다. 보통 계약시 Security deposit으로 세입자가 집 주인에게 한달치 렌트비의 50%에 해당하는 금액(eg. 한달 렌트비가 2000불이면 Deposit은 1000불이 되겠죠)을 줍니다. (근거를 위해 cheque를 사용하거나 email transfer를 권장합니다.)

 

BC주 렌트 표준 계약서 / Inspection sheet

BC주에서는 정부에서 인정하는 표준 렌트 계약서가 있으며 이 계약서 양식을 사용할 것을 추천합니다. 계약서를 제대로 작성하지 않을 경우 강력한 세입자 보호법 등의 법으로부터 아무런 보호를 받을 수 없게 됩니다.

계약서 위치 : https://www2.gov.bc.ca/gov/content/housing-tenancy/residential-tenancies/starting-a-tenancy/tenancy-agreements

계약서는 보통 집 주인이 준비를 하지만 간혹 탈세를 원하는 집주인들이 계약서를 쓰기를 꺼려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주의하여 꼭 계약서를 쓰도록 합니다.

또한 계약서와 함께 Inspection sheet를 작성하는데, 이 서류는 집 렌트 시점을 기준으로 집 내부에 특별한 하자나 문제가 있는지를 집주인과 세입자가 함께 미리 체크하여 기록해 놓습니다. 이는 렌트 계약이 종료되는 시점에 집 내부 상태와 이 서류에 기록된 내용과 비교하여 세입자가 Security deposit을 모두 돌려받을 수 있을지를 결정할 수 있습니다. 집에 추가적인 damage나 청소불량 등의 문제가 발생된 경우 집 주인이 세입자게에 추가로 비용을 청구하거나 Security deposit에서 제할 수 있습니다.  일부 악덕 집주인의 경우 일부러 Inspection sheet를 작성하지 않고 렌트 계약 종료시 별 트집을 다 잡아 세입자에게 Security deposit을 돌려주지 않으려는 사람들이 있으니 꼭 Inspection sheet를 잘 작성하고 필요시 사진도 찍어두면 좋습니다.

 

주의 사항

1. Craigslist 등의 웹사이트에서 렌트할 집을 구하는 중 간혹 집 주인이 해외에 있으니 deposit을 송금해주면 집 열쇠를 주겠다며 저렴한 가격으로 렌트를 하겠다는 글 들을 볼 수 있으나, 이는 100% 사기이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2. 어떤 사기꾼들은 아주 그럴듯한 가짜 airbnb 사이트를 만들어 링크를 보내주면서 해당 airbnb 사이트에서 렌트할 집을 결제하도록 유도하는 경우가 있으나, 장기 렌트(최소 1개월 이상)는 airbnb에서 취급하지도 않으며 이 경우 역시 100% 사기이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3. 캐나다에는 전세라는 개념이 없습니다. 모두 월세(렌트)이며 주마다 약간씩 다르긴 하지만, BC주의 경우 렌트 계약을 할때 디파짓(security deposit)으로 월세의 절반($1000이 월세라면 $500이 디파짓)을 렌트 시작시 지불하게 되고, 이 디파짓은 추후 월세 계약이 종료되고 이사 나갈때 거주했던 집에 하자가 없을 경우 집 주인으로 부터 돌려받게 됩니다. (원칙적으로는 원래 냈던 디파짓에 이자를 쳐서 돌려주게끔 되어 있습니다만 그렇게 주는 집주인은 많이 못밨습니다.)

월세는 선불이므로 $1000이 월세라면 가장 첫달 $1500을 내고 다음달부터는 $1000씩 내면 됩니다. 

보통 체크로 월세를 지불하기도 하고 요즘에는 e-trasfer (email을 통해 돈을 송금하는 방식)를 많이 사용하는 추세입니다. 렌트비(월세)는 지역마다 집의 크기 및 상태에 따라 많이 차이가 나고, 집값이 상승함에 따라 렌트비도 함께 상승하기도 합니다.

 

 

 

반응형
Posted by Steve Li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