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는 2014년 6월초에 가족과 함께 영구랜딩을 했습니다. 사실 랜딩 전에 몇년정도 밴쿠버에서 학생비자로 생활했던 경험이 있어서 영구랜딩하면서 정착하는 과정은 아주 어렵진 않았지요. (영구랜딩 후기는 아래 포스팅 참조)
사실 돈이 무척 많은 분들 아니면 밴쿠버에서 살려면 뭔가 일정한 수입이 있어야 하는데, 자영업을 하거나 직장을 다니거나 둘중에 하나로 돈을 벌게 되지요.
근데 자영업도 투자금이 필요하고 사업을 하는 기술도 필요하고 사업에 대한 아이디어도 필요하겠지요. 전 이 세가지 중 아무것도 없었습니다. 오로지 직장에 다니기에 필요한 기술만 있었지요. 한국에서 IT 경력이 약 7년 이상정도 있었거든요.
랜딩을 하자마자 핸드폰과 차를 구하고 집을 구하면서도 그 와중에 어떻게 직장을 잡을 것인지 고민하면서 관련 분야에서 일하시는 분들을 만나러 다녔습니다. 처음 만났던 분이 석세스의 Job market 담당 선생님(지금은 다른곳에서 근무하십니다.)을 만나뵙고 밴쿠버에서 어떤식으로 직장을 잡을 것인지에 대한 큰 그림을 그릴수 있었습니다.
1. 캐나다에서의 경험이 중요하다
캐나다에 있는 회사에서는 직원을 뽑을때 캐나다에서의 직장 경력이나 일한 경험을 많이 참고합니다. 경험이나 경력이 없는 사람은? 영어라도 잘해야겠지요. 근데 캐나다에서 태어나고 자란 사람들도 막 대학 졸업한 무경력자들은 취업이 엄청 힘듭니다.
그래서 모두들 Volunteer 라는 것을 합니다. 각종 이민 봉사 기관(SUCCESS, ISSofBC, MOSAIC 등)을 방문하시면 여러가지 Volunteer 기회를 얻을 수 있습니다.
Volunteer도 하고 영어도 연습하고... 1석2조 네요.
이 경험은 나중에 이력서에 넣으면 취업에 유리합니다.
2. 영어보다는 커뮤니케이션
한국분들 대부분은 한국에서 영어를 10년 넘게 배워오셨을 것입니다. 다들 아시지만 그러면서도 변변치 않은 영어회화 한문장 하기 어렵지요. 게다가 잘못 알고 있는 것도 있습니다. 영어는 화려한 문장과 어휘, 발음이 아닌 어떻게 상대방과 커뮤니케이션을 하느냐가 더 중요하다는 내용을 잘 모르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저도 영어권에서 오래살아보진 않았습니다만 특히 밴쿠버에는 이민자가 현지인보다 많고 그 영어 발음또한 천차만별에 알아 듣기 힘든 발음이 엄청 많습니다. 대개 인도, 중국, 이란 계통에서 오신 분들이 그러하지요. 하지만 그분들은 현지인들과 아주 대화를 잘 해 나갑니다. 자세히 들어보면 영어 문법도 엉터리이고 발음도 정말 꽝이지만 커뮤니케이션을 아주 잘 하는 것이지요.
많은 이민자 봉사기관에서 이러한 주제를 가지고 자주 세미나를 하기도 하니, 이런 기회가 생기면 꼭 참석해서 배워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영어공부는 문법 공부나 어휘공부(알츠나 토플)가 중요한게 아니라 어떻게 현지인과 대화를 잘 해나가느냐를 배우는것이 중요합니다.
3. 이민자들의 취업을 위한 정부기관 및 프로그램
영주권을 받고 이민한지 5년이 넘지 않은 기술 이민자에 대해 취업을 지원해주는 다양하고 좋은 정부기관 프로그램이 많이 있습니다.저는 크게 다음 2가지 프로그램의 도움을 많이 받았습니다.
b. mentoring program
Skills connect를 제공하는 기관은 위 링크를 따라가보시면 자세히 나오는데요, Back in motion, Douglas college, Training innovations, ISSofBC 등의 기관이 있습니다.(기관은 정부 정책에 따라 바뀌기도 합니다) 저는 IT 분야라서 Training innovations에 등록을 했구요, 각 기관마다 약간의 특색이 있습니다. 모두 들러보신 후에 충분히 정보를 얻으시고 가장 맘에 드는 곳에 등록을 하시면 됩니다. 이민자로서 단 1번의 등록 기회가 있으며 등록한 날로부터 1년간만 서비스를 받을수 있습니다. 약 2000불정도의 금액 상당으로 취업 지원을 받을 수 있고, 각종 취업과 관련된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이력서와 커버레터 작성, 직업 찾는 방법 및 리소스, 취업 세미나 및 취업 박람회 등등.Mentoring program에 등록하시면 나에게 가장 적합한 Mentor와 3개월간 만나면서 이것저것 정보를 얻을 기회를 잡을 수 있습니다. Mentor는 캐나다 현지에서 내가 일하는 직종에 종사하는 경력자로 보통 선정이 되는데요, 해당 Mentor와 프로그램을 진행할지 안할지는 본인이 판단하시면 됩니다. MOSAIC이 가장 많고 다양한 Mentor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요, 모든 이민자 봉사기관에 각각 프로그램을 신청하고 Mentor를 소개받아도 됩니다.
휴... 글 정리해서 쓰기가 어렵군요.. 말재주가 없어서...
다음 포스트에 계속 해서 올릴께요...
감사합니다.
다음글 보기 : 밴쿠버에서 IT직장 잡기(2) - 면접기회 잡기
'Job'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밴쿠버에서 IT 직장잡기 (5) - 취업 (10) | 2017.03.18 |
---|---|
밴쿠버에서 IT 직장 잡기(4) - 면접 경험담(BCLC) (0) | 2017.03.17 |
밴쿠버에서 IT 직장 잡기 (3) - 면접 경험담(Vancouver 시청) (0) | 2017.03.16 |
캐나다 BC주 구직사이트 모음(job search engine) (0) | 2017.03.15 |
밴쿠버에서 IT 직장 잡기 (2) - 면접 기회 잡기 (0) | 2017.03.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