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가 캐나다에 처음 온건 2007년이지만, 2013년 캐나다에 영주권을 받고 이민을 한 후 정착하고 직장 찾고 하느라 정신 없이 시간을 보낸 후 이제 좀 살만하니까 드는 생각이 "캐나다에서 은퇴를 하려면 돈이 얼마나 필요하고 언제쯤 은퇴를 할 수 있을까?" 였고, 여기저기 정보를 찾다보니 Passive income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고, 그 중에 한가지 방법이 주식 투자에 관한 것이었습니다.
한국에서 주식투자는 인식이 "투기" 나 "도박"에 가까워 많이들 꺼려하는 느낌인데 캐나다는 확실히 달랐습니다. 그래서 여러가지 관련 책을 읽어보기도 하고 다양한 블로그도 찾아보며 느낀 점은 많은 캐네디언들은 은퇴를 위해 주식투자를 하는 것이었습니다. 물론 여기서의 주식투자는 Day trading (단타)가 아닌 저축의 개념이므로 재정적으로 튼튼하고 미래가 밝은 회사의 주식에 투자하는 것입니다.
우선 캐나다에서 주식을 투자하기 위해 필요한 것은 주식 브로커(Broker)를 찾는 것입니다. 한국에서는 여러 증권 회사에 계좌를 만들어 홈트레이딩이나 전화로 주식을 사고팔고 할 수 있지만, 여기서는 은행이나 주식 브로커를 통해 거래를 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대형 은행 등에서 제공하는 주식 거래는 매매건당 보통 $10정도(은행 및 계좌 종류에 따라 비용이 다를 수 있습니다.)의 수수료가 붙기때문에 한국에 비하면 상당히 비싼 금액입니다.
그래서 저는 매매 수수료가 저렴한 다음 두가지의 브로커를 사용합니다.
- Wealthsimple
- Questrade
Wealthsimple
Wealthsimple은 2014년에 설립된 기업으로 주로 online wealth management 서비스를 해오다가 2019년부터 Wealthsimple Trade라는 이름으로 캐네디언들에게 캐나다와 미국 주식 및 ETF 등을 거래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시작하였습니다.
Wealthsimple의 가장 큰 장점은 주식 거래 수수료(Commission) $0 입니다. 캐나다 내의 어떤 브로커도 주식 거래 수수료가 $0 인곳은 없었는데 Wealthsimple이 처음 제공하게 되었습니다.
최근 도입한 서비스 중 좋은 것은 주식의 일부만 거래(fractional shares)할 수 있는 것입니다. 예를 들면, 한주당 $100인 주식을 $10어치만 구입할 수가 있는 것입니다. $110 만큼 구입하면 주식 수는 1.1 주로 표시되는 것입니다. 대형 주식을 적은 비용으로도 조금씩 구입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모든 주식을 거래할 수 있지는 않지만 점점 그 주식 종목 수를 늘려나가고 있으며 ETF와 Crypto 거래 서비스도 제공하고 있습니다.
Wealthsimple에는 US account를 가질수 없었는데, 최근 발표된 내용에 따르면 월 $10의 사용료로 US account를 가질 수 있으며 미국 주식을 이 account에서 거래할 수 있게 됩니다(PLUS 서비스). 기존에는 CAD account에서 미국 주식을 거래해야 했고 거래당 환전 수수료가 발생하므로 미국 주식 거래에는 그다지 큰 매력이 없었습니다. 물론 캐나다 주식 거래에는 아무런 수수료 없이 무료입니다.
(Update on Feb 5, 2024) Wealthsimple에는 3가지 회원유형이 생겼습니다 - Core, Premium, Generation. 기본적인 회원은 Core 회원이고, Wealthsimple에 자산이 $100,000 이상은 Premium회원으로 USD account 무료 및 Cash어카운트에 4.5% 이자율 등 더 나은 혜택이 있고, 자산이 $500,000 이상은 더 나은 혜택이 제공 됩니다. 즉, 10만불정도의 자산을 Wealthsimple에 가지고 있을 경우(Stock, ETF, Cash 등) 자동으로 Premium 회원이 되고, Cash account에 돈을 넣어 놓기만 해도 4.5% 이자라는 매력적인 혜택이 주어집니다. Core 회원의 경우만 해도 4%의 이자가 주어지므로 충분한 혜택이 될 것 같습니다.
장점
주식 거래 수수료 무료 (캐나다 주식 거래는 100% 무료이나, 캐나다 account에서 미국 주식을 거래할 경우 거래수수료는 없으나 매번 환전 수수료 발생)
주식 일부만 거래 가능 (fractional share trading)
사용하기 편리한 User interface
$1000까지는 instance deposit 가능(연결된 본인 은행 계좌에서 Wealthsimple account로 즉시 이체)
단점
별로의 US account를 보유하기 위해서는 Plus 서비스* 가입 필요
실시간 주식 정보 표시를 위해 Plus 서비스* 가입 필요
지원하는 account의 종류가 많지 않음 : TFSA, RRSP, and Taxable account
일부 minor 주식의 경우 Wealthsimple trade에 올라와 있지 않아 거래가 안될 수 있음
* Plus 서비스 가입 : 월 $10 사용료
제 개인적인 견해
웬만한 major 주식들(주당 $1 이상인 주식들)은 모두 거래가 가능하고, 캐나다 주식 및 ETF만 거래한다면 TFSA나 RRSP 계좌를 열어 거래하면 거래 수수료가 없으므로 매월 2-3주씩 수수료 부담없이 모으는게 가능하므로 적은 투자 금액으로 주식을 시작한다면 이보다 더 좋은 브로커는 없을 것 같습니다.
Questrade
Questrade는 많은 캐네디언들이 선호하는 개인 주식 거래 브로커입니다. 1999년에 설립되었고 Tronto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Wealthsimple 전까지는 캐나다에서 가장 저렴한 주식 거래 수수료를 제공하였습니다. (보통 거래당 $5 정도)
Questrade의 장점으로는 역사가 깊은만큼 저렴한 거래 수수료에 상당히 많은 거래 종목(Stocks, ETFs, Options, international equities, IPO)과 계좌 종류(RRSP, TFSA, RESP, LIRA, RIF, LIF, Corporate accounts, investment club account, informal trusts 등)를 지원합니다. 또한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여러가지 플랫폼(Questrade Trading, Questrade app, Questrade IQ Edge, 그리고 Questrade Global)을 지원합니다.
ETF를 구매하는 경우에는 수수료가 무료입니다. (판매시에는 수수료 있음)
가장 큰 장점 중 한가지는 USD와 CAD account는 별도로 유지할 수 있어서 주식을 거래할때마다 환전을 할 필요가 없이 한번씩만 환전하여 USD로 옮긴 후 그 USD 계좌에서 미국 주식을 사고 팔 수 있습니다.
장점
주식 거래 수수료가 저렴 : Wealthsimple trade와 비교하자면 비싸지만 일반 은행의 주식 거래 수수료와 비교하면 상당히 저렴한 편
다양한 종류의 account를 지원함 : TFSA, RRSP, Taxable account, RESP, LIRA, RIF, LIF, Corporate account, Trusts, etc
거의 모든 주식($1미만의 주식들 포함)들의 거래가 가능함
거의 실시간 주식 정보 표시
USD account를 별도로 open할 수 있어서 그 계좌에서 미국 주식을 사고 팔 수 있음
단점
처음 Questrade로 account를 open한 후 최소 투자 금액이 $1000
Fractional trade 지원 안함
제 개인적인 견해
Questrade의 가장 큰 장점은 USD account를 별도로 관리할 수 있다는 것이므로 미국 주식 거래에 관심이 있으시다면 사용하시는게 좋습니다. 저의 경우 미국 주식은 Questrade에 RRSP 계좌를 열어 그곳에서 거래하고 있습니다. 미국 주식에서 배당을 받을 경우 TFSA 계좌는 미국에서 알지 못하는 계좌이므로 배당에 대한 원천징수세금을 떼지만 RRSP계좌는 미국도 알고 있는 tax free 계좌이므로 배당금에 대한 세금을 떼지 않습니다.
비교
Wealthsimple Trade | Questrade | |
수수료 | 주식 및 ETF를 사고 팔때 $0 | min $4.95 to max $9.99 (ETF 구입시에만 무료) |
지원 계좌 종류 | TFSA, RRSP, Taxable account, (최근 RESP 지원 추가) | TFSA, RRSP, Taxable account, RESP, LIRA, RIF, LIF, Corporate account, Trusts, etc |
계좌 오픈 후 최소 투자 금액 | $0 | $1000 |
계좌 Trasfer 수수료 지원 | $5,000 이상을 trasfer 하는 경우에 수수료 지원 | trasfer 금액에 상관없이 $150까지만 수수료 지원 |
USD / CAD 계좌 | CAD 계좌 무료 USD 계좌의 경우 별로 Fee (월 $10) |
USD / CAD 계좌 보유 가능 |
계좌 유지 수수료 | 없음 | 없음 |
지원 플랫폼 | Web, iOS, Android | Web, iOS, Android |
지원 주식 거래소 | TSX, TSXV, NYSE, NASDAQ | TSX, TSXV, NYSE, NASDAQ, MX, PINK, BATS, CNSX 등 |
주식 정보 표시 | 15분 지연 (PLUS 가입시 실시간) | 거의 실시간 |
DRIP (배당금 재투자) | 지원 | 지원 |
Fractional shares (1주 이하 주식 구매) | 일부 종목에 대해 지원 | 지원 안함 |
환전 수수료 (CAD - USD) | 1.5% | 1.5% - 2% |
프로모션 (여기 링크 클릭으로 가입하고 거래하실 경우 보너스를 받으실 수 있습니다.) |
$5 이상 $4500 이하, 평균 $15 상당의 무료 주식 2주 | 최대 $250 (첫 투자 시작 금액에 따라 차등) |
Funding time (주식 계좌로 송금시 걸리는 시간) | 보통 business day로 3일 소요되지만 $1000 이하는 instant deposit 지원 | 보통 business day로 1-2일 소요되지만, Visa debit 등을 통해 instant deposit 가능 |
아래 가입링크를 통해 가입하고 투자를 시작하실 경우 가입하시는 분과 저 모두 보너스가 있습니다.
Wealthsimple 가입링크 : https://my.wealthsimple.com/app/public/trade-referral-signup?code=RUDUPG
Sign up for Wealthsimple and get 2 free stocks
my.wealthsimple.com
가입하시는 분은 2개의 Free stock, 저는 1개의 Free stock을 받게됩니다. (최근에는 현금 $25을 주는 것 같습니다. 회사 정책에 따라 보너스의 내용이 가끔 변경되는 것 같습니다.)
Account Selection | Questrade
Self-directed - Trade your own stocks, ETFs, options and more
www.questrade.com
팁
저의 경우 현재로서는 Wealthsimple에 TFSA와 RRSP 계좌를 가지고 있으며 모두 캐나다 주식만을 골고루 보유하고 있습니다. Questrade에도 역시 TFSA와 RRSP 계좌를 가지고 있으며 TFSA에는 CAD만 보유하고 캐나다 ETF만을 거래하고 있으며 RRSP 계좌에는 USD를 보유하면서 미국 주식을 거래하고 있습니다.
TFSA 계좌에 미국 주식을 보유할 경우 배당금에 대해 Tax가 부과되기때문에 미국 주식은 RRSP 계좌에만 보유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계좌 종류 | 주식 종류 | 과세 여부 |
TFSA | 미국주식 | Capital gain에는 비과세이나 Dividend에는 15% 원천징수과세 됨 |
TFSA | 캐나다주식 | 비과세 |
RRSP | 미국주식 | 비과세 |
RRSP | 캐나다주식 | 비과세 |
Wealthsimple trade는 2019에 출발한 신생 브로커인만큼 계속 진화가 되어가고 있으며 여러가지 좋은 기능들이 추가되고 있습니다. 최근 소식에는 Wealthsimple PLUS에 가입(월 $10)할 경우 USD 계좌를 소유할 수 있으며 그 USD 계좌에서 별도의 환전 없이 미국 주식을 무료로 직접 거래할 수 있으며, 주식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고 더 많은 금액($5000)의 instant deposit을 지원합니다.
제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만일 Questrade를 통해 미국주식을 거래할경우 거래당 최소 $5의 수수료가 나가므로 Questrade에서 월 2번정도의 미국주식 거래를 할 경우 $10의 월 수수료가 발생하므로 Wealthsimple PLUS에 가입하는 것이 나을수도 있지만, 개인의 투자 성향에 따라 결정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Finan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캐나다 배당주 투자 시작하기 (0) | 2022.01.10 |
---|---|
캐나다 배당주 추천 Top 3 (0) | 2022.01.10 |
캐나다 회사에서 제공하는 연금 종류 (Employer-sponsored pension plans) (0) | 2021.12.27 |
캐나다 RRSP (Registered Retirement Savings Plan) 가이드 (3) | 2021.12.13 |
캐나다 TFSA (Tax Free Savings Account) 가이드 (2) | 2021.12.12 |